배움에 두려움이 없고 분야를 가리지 않는, 항상 정진하는 개발자입니다.
[2022~ 끊임없는 도전]
전역 이후 지금도 쉼 없이 실력을 갈고 닦고 있습니다. AI에 대한 관심으로 부스트캠프 AI Tech 4기를 수료했습니다. 소중한 동료들을 많나 많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다양한 식견들을 얻을 수 있었으며, 함께 했던 [지구코딩실] 팀과는 현재까지도 인연을 이어가며 작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0~2022 ROTC 58기 학군 장교로 군복무]
군복무 중에도 개발자의 꿈을 놓지 않고 계속해서 정진했습니다. 이러한 저의 노력은 각종 수상으로 이어졌습니다. 평소 흥미를 갖고 공부한 AI 기술을 부대 시설에 적용하여 개선안을 제시하는 한편, 코딩 지식을 발휘하여 동아리 활동을 이끌어 전국 대회에서 수상했습니다.
[2016~2019 한양대학교 정보시스템 전공]
다양한 CS 지식을 습득하고 Capstone Project로 NUgaller(누갤러)를 개발하며 사람과 소통하는 AI 기술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흥미가 생겼습니다.
부스트캠프 AI Tech 4기 수료증
「SKT AI 커리큘럼 Capstone Project」 우수상
육군정보통신학교 AI 초청 강연자 표창
제 3회 청년DREAM 국군드림 최우수상 수상
kyc3492 (Yeoncheol Kang) - velog
누비랩 기업연계 프로젝트
참여 기간 : 2022. 12 ~ 2023. 02
기술 스택 : Python, Pytorch, FastAPI, MongoDB
세부 역할 : 실험 진행 및 결과 분석을 위한 Backend Server 구성, 베이스라인 모델링, 테스트 코드 작성
개요
OPEN CLIP[링크] 모델을 기반으로 ‘음식 도메인’[1] FINE GRAINED TASK를 해결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아직 해당 분야에 뚜렷한 해결책이 대두되지 않았다는 점과 실제 스타트업에서 고민하는 점을 함께 공유하고 해결하는 과정이 특별했던 프로젝트입니다.
프로젝트 리뷰
FINE GRAINED 도메인에 대해 CLIP을 적용하는 것은 도전적인 과제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존재하는 수많은 음식들을 제대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처음 보는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는 Zero-Shot Task에 뛰어난 CLIP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생각했습니다. 우리 ‘지구코딩실’[2] 팀은 모든 역량을 집중했지만, 약 5주라는 짧은 기간동안 진행됐기에 원하는 수준의 Zero-Shot 성능을 달성하는 것은 어려웠습니다. 그러나 Food-Tokenizer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등 프로젝트에서의 경험은 NLP 기반의 새로운 후속 프로젝트의 토대가 되었습니다.
[1] 음식을 분류하는 등 음식과 관련된 Task들을 일컫는 용어로써 사용됨.
[2] 부스트캠프 AI Tech 4기 동안 모든 프로젝트를 함께했던 팀.
[소개 페이지]
[소개 링크]
[NLP-9] 지구코딩실 | CLIP을 이용한 Zero-Shot 음식 분류 (누비랩 기업연계 프로젝트)
[Youtube]
[NLP-9] 지구코딩실 | CLIP을 이용한 Zero-Shot 음식 분류 (누비랩 기업연계 프로젝트)
[Github]
[Project]
https://github.com/boostcampaitech4lv23nlp2/final-project-level3-nlp-09
[API]
https://github.com/EarthCodingLab/food-data-api
[DataOps Review]
Relation Extraction(관계 분류) 대회 (부스트캠프 AI Tech 내부 대회)
참여 기간 : 2022. 11
기술 스택 : Python, Pytorch, Transformer, MLflow
세부 역할 : MLflow model tracking / serving 서버 구성, 베이스라인 모델링, Split & Combine 모델 구현
개요
30가지로 정의된 문장 내 2개의 객체 사이의 관계를 분류하는 대회에 참여했습니다. 베이스라인의 모델 개선뿐만 아니라 우리 지구코딩실 팀만의 협업 문화를 완성하고 적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팀의 역량을 집중하여 최종 2위의 값진 결과를 성취했습니다.
프로젝트 리뷰
우리 팀은 우선 베이스라인을 리팩토링하고 협업을 위한 준비를 진행했습니다. 대회의 성적 및 모델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서, 더불어 우리 팀의 차별화된 과업을 위해 반드시 선행되어야하는 과제라 생각했습니다.
[Github]
https://github.com/boostcampaitech4lv23nlp2/level2_klue_nlp-level2-nlp-09
[MLOps Review]